* /dev/mapper/rhel-root : 로컬파일시스템이름 (해당 볼륨을 확장할 예정)
--현재 논리적인 볼륨 구조 확인
> df -h
--전체 용량 정보 확인
> fdisk -l
--남은 디스크용량정보에서 추가 파티션을 생성
> fdisk /dev/sda
--추가한 파티션이 생성됨을 확인
> fdisk -l
--추가된 파티션 위치로 이동 (적용을 위해서는 시스템 리부팅이 필요)
> cd /dev/
> ll | grep sda
--물리적인 볼륨 공간 생성
> pvcreate /dev/sda3
--볼륨 그룹에 추가
> vgextend rhel /dev/sda3
--논리적인 볼륨 공간 추가
> lvextend /dev/mapper/rhel-root -l +100%FREE
--리사이징 작업이 필요
> xfs_growfs /dev/mapper/rhel-root
**참고링크
'개발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에 Jupyter Notebook 기본서비스로 설정 (0) | 2022.07.02 |
---|---|
공짜 SSL Certbot 적용 (0) | 2022.04.14 |
openSSL 설정 (0) | 2022.04.08 |
Linux 현재 날짜/시간 확인 및 변경 (0) | 2021.01.26 |
Linux locale ( 한글 언어 설정 ) (0) | 2021.01.26 |